기본적으로 심장에서 나가는 것은 동맥, 심장으로 들어오는 것은 정맥이다. 산소 농도가 높고 낮음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다.
pulmonary artery는 산소 농도가 낮고 pulmonary vein 같은 경우 산소 농도가 높다
LA(왼심방)에서 나온 혈액은 온 몸을 순환하는데 그림 C에서 보면 소화관을 지난 것은 대부분 간으로 합류한다.
이때 간으로 가면서 분지로 3갈래로 나뉘는데 하나가 celiac trunk, 하나가 superior mesenteric artery, 하나는 inferior mesenteric artery이다. 이중에서 celiac trunk 는 소화기의 대부분을 먹여살리는 혈관이다. 왼쪽, 간으로 가는 것과 오른쪽, 비장으로 가는 것으로 나뉜다. 소화기는 지나는 동맥들은 전부 그림 C의 아래대정맥 (inferior vena cava)에 합류하여 심장으로 들어간다.
신장을 거치는 부분이 특이한데 배대동맥(abdominal aorta)에서 빠져나와 바로 신장쪽으로 가버린다. 그 동맥은 바로 inferior vena cava에 합류하여 이동한다. 그만큼 콩팥에서의 흐름은 빠르게 인지되고 빠르게 처리된다. 전체적으로 이온의 밸런스나 거름망 역할을 하는 곳이 콩팥이기 때문이다.
동맥, 정맥 구조
기본적으로 동맥과 정맥은 탄력성에서 차이가 있다. 동맥은 속탄력층과 바깥탄력막이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판막인데 이는 피를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피가 역류해버리면 부정맥이기 때문. 정맥에만 있는 이유는 얇은 모세혈관그물을 거치면서 압력이 많이 떨어진다. 동맥은 심장에서 짠 압력으로 circulate할 수 있지만 모세혈관에서 다 퍼지면서 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정맥에 판막이 있게 된다. 이는 근육 사이사이에 있어서 근육을 움직일때마다 피를 위로 올려줄 수 있게 해준다. 마사지를 한번 받으면 시원함을 느끼는 원리이다.
조금 더 자세히 본 사진인데 우선 basement membrane은 어디에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tunica intima는 smooth muscle이 굉장히 두꺼워지는 부분 앞까지라고 본다. smooth muscle층이 주로 있는 곳이 tunica media, 혈관을 두껍게 만드는 부분이 tunica adventitia이다.
tunica intiam
- loose connective tissue, few scattered smooth muscle cell
- internal elastic lamina (속탄력층)
tunica media
- smooth muscle이 대부분인데 vein은 smooth muscle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artery에서는 굉장히 밀집하게 되어있다
tunica adventitia
- 혈관 주변으로 collagen이 쭈욱 guidance하는데 대부분 type4
- fibroblast와 elastic fiber이 많이 존재한다
동맥은 혈관 자체가 워낙 두꺼워서 동맥 자체를 먹여살릴 또다른 미세혈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vasa vasorum이라고 한다.
왼쪽과 같은 경우 저산소증이 생길 수 있다. 비슷하게 암에서는 angiogenesis, 즉 혈관이 새로 생성되는데 이로 산소를 공급받는다. pathologic 한 이유로 생긴 vasa vasorum은 굉장히 많이 샌다. 즉 출혈이 일어나기 쉽다.
Hypoxia (저산소증)
pathological hypoxia: stroke, myocardial infraction, limb ischemia, tumor hypoxia 등
physiological hypoxia: proper embryogenesis, development, wound healing 등
간 관련 혈관
혈관마다 모양이 다 다르지만 sinusoid 모양의 혈관은 물질이동이 매우 자유롭다. 대표적으로 간과 음경이 있다
위의 그림의 일부인데 hepatic portal vein(엄연히 정맥으로 나뉨)을 통해 판막 없이 저절로 혈액이 간으로 흘러들어간다. 이 혈액에는 소화관에서 얻어온 모든 영양분들이 있다. 간은 우리 몸의 화학공장이기에 영양소를 저장하거나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간에서 kupffer cell이 특이적으로 이 역할을 한다. 이렇기때문에 위 그림처럼 간에서 혈관의 모양이 sinusoid인 것이다.
Capillary (모세혈관)
endothelial cell 한 층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basement membrane은 있다.
그림을 보면 혈관을 가볍게 둘러쌓고 있는 것들이 있는데 이를 pericyte라고 한다.
이게 중요한게 혈관과 lympathic pathway간의 물질이동이 굉장히 많은데 이를 돕기 때문이다.
다리 혈관
그림과 같이 다리혈관은 동반 정맥으로 되어있기도 하다. 다리는 맨 아래에서 심장까지 혈액을 운반시켜야하기 때문에 근육 운동이 많이 필요하다. 만약 근육 운동을 잘 해주지 않는다면 혈액이 고여서 혈전(thrombus)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러면 정맥혈이 되고 하지정맥류로 혈관이 튀어나올 수 있다.
번외 (주요 정맥, 주요 동맥)
'공부내용 >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학] 머리뼈 큰 분류 (0) | 2020.09.18 |
---|---|
영상 기술 사진 몇가지 (0) | 2020.09.17 |
[해부학] 신경계 (0) | 2020.09.17 |
[해부학] 림프절 (0) | 2020.09.17 |
[생리학]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 확산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