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내용/의학

[해부학] 등근육

이습 2020. 9. 20. 21:47

등세모근 (승모근, Trapezius muscle)

 

www.zygotebody.com/#  이 페이지를 참고하면 전체적인 해부학적 위치를 알 수 있다

 

등세모근은 3가지로 나눈다. 상부, 중부, 하부.

반을 갈라서 옆으로 보면 흰색 줄기가 보이는데 그게 accesory nerve(CN11)이다. 

 

상부(descending part) 그림인데 왼쪽 그림의 흰색은 인대 성분이다. 그 위에 근육이 붙는것이고 아래 점이 찍어있는 부분부터 descending part에 붙게 된다. 가운데 그림은 왼쪽의 『 자 모양 빨간 부분을 채운 모습이다. 오른쪽 그림은 위에서 본 모습인데 가운데 흰색이 인대이고 그 오른쪽 흰색 근육이 occipital bone에 붙는다. 그렇게 쭉 내려가다가 clavicle에 붙게 된다.  상부는 scapula쪽에는 붙지 않는다. 

 

중부 (transverse, middle part)이다. scapula중에서도 위쪽에 부착되게 된다.

acromion부분이 꽤 긴데 이쪽에 부착된다고 보면 된다. 어깨뼈는 등에서 굉장히 중요하기때문에 위 그림의 단어들은 다 알아두는게 좋다. 특히 acromion은 팔과 관련되어 인대와 근육들이 많이 붙는다.

 

보면 acromion에 clavicle이 붙게 된다. 

이쪽은 어깨 부분이지만 등과 연관이 깊다. intertubercular 부분은 근육이 붙기 좋은 고랑이다. 각 부위마다 이름이 붙게되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glenohumeral같은 경우 glenoid cavity부분과 팔쪽에 붙는 명칭인 humeral이 합친것이다. 어깨 부분을 배울때는 위 부분의 이름들을 다 외워야한다.

 

하부 (ascending, inferior part) 이다. 부착점은 노란색 원 안의 acromion 부분이다. 

 

위에서 본 그림인데 정리하자면 초록색 부분은 상부, 파란색이 중부, 흰색이 하부가 붙는 부분이다. 

위에서 몸 전체적으로 본 모습인데 파란색 bursa들은 윤활막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승모근은 목의 좌우 움직임, 약간 측면으로 움직이는 것, 목의 뒤로 움직임에 관여한다. 

 origin 부분을 보면 정확히 어떤 뼈부터라고 말하는게 애매한데 이게 사람마다 전부 다르다. 전에 말한 상부에 붙는 인대 이름이 nuchal ligament 이다. 중부부터는 인대보다는 process 부분에 붙게 된다. 

 

팔로 가는 spinal nerve는 plexus로 c5,6,7,8 t1 총 5개가 간다. 근데 어깨 쪽에서 분지되어 내려가는 신경이 많다. 그래서 어깨가 아픈데 팔이 저린 경우도 있고 cervical쪽은 얼굴과도 연관이 있어서 팔과 어깨의 증상이 얼굴과 연관이 없는 것이 아니다.

 

넓은 등근 (광배근, Latissimus dorsi muscle)

 

origin

- TV7~TV12 와 LV 전체의 가시돌기 (spinous process)

- 엉치뼈(sacrum) 뒷면

- 엉덩이뼈 능선 (iliac crest)

- 10~12th 갈비뼈

 

insertion

- 위팔뼈의 곁절사이고랑 (intertubercular groove of humerus)

이렇게 넓은 근육이 위 그림의 아주 작은 부분에만 insertion한다. 그래서 우리 팔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고로 겨드랑이 살짝 아래쪽 팔의 앞쪽에 붙는다 생각하면 된다

 

function

위팔뼈를 펴고, 모으고, 안쪽으로 돌리는 운동

기어오르는 운동을 할때, 몸통을 위팔쪽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함

 

nerve (innervation)

thoracodorsal nerve C6~8 (아래 그림 참고)

 

마름근 (Rhomboid)

전체적으로 spinous process에 붙어있고 scapula의 medial border에 다 붙어있다. 

위 그림을 보면 rhomboid에 관여하는 신경을 알 수 있다. dorsal scapular도 분지되는 여러 신경들중 하나이기에 외워야한다. C4,5에서 합류되는 신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어깨 올림근 (Levator scapulae muscle)

origin

- CV1~4 가로돌기의 뒤결절 

 

insertion

- 어깨뼈 안쪽 모서리 윗부분 

 

function

- 어깨뼈를 올리고 어깨뼈를 돌려 접시 오목을 아래쪽으로 기울이는데 관여 함

 

nerve

- 등쪽어깨신경 (dorsal scapular nerve(motor, C5))

- C3, C4 고유감각

 

신경은 똑같이 C 3,4,5로 rhomboid와 똑같다. 그렇기에 근육 움직임도 rhomboid와 커뮤니케이션 하면서 같이 움직인다. insertion의 경우 rhomboid와 같이 한다고 보면 되는 근육이기에 scapula의 medial border에 붙는다 생각해도 된다.

 

아래뒤톱니근 / 위뒤톱니근 (Serratus posterior inferior/superior muscle) 

위뒤톱니근도 마찬가지고 rib bone에 붙어있다. rib에 붙는다는 것은 호흡과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 위뒤톱니근은 scapula를 살짝 들어보면 scapula의 안쪽 부분까지 붙어있다. 위뒤톱니근이 수축하면 rib bone은 확장되고(숨을 들이쉴때) 아래뒤톱니근이 수축하면 rib bone은 수축된다(숨을 뱉을 때).

 

위뒤톱니근

 

origin 

- 목덜미 인대의 꼬리쪽, C7~T2 (or C6~T2)가시돌기, 가시끝 인대

 

insertion

- 2~5번쨰 갈비뼈의 머리쪽 모서리

 

function

- 가슴우리 안쪽 크기를 늘려 깊은 호흡에 도움을 줌

 

nerve

- T2~5 갈비뼈 신경 (or intercoastal T1~4)

 

아래뒤톱니근

 

origin

- T11~12 가시돌기, L1~3 가시끝인대

 

insertion

- 9~12번째 갈비뼈의 아래 모서리

 

function

- 가로막이 위로 올라갈때 갈비뼈가 따라 올라가지 않도록 함

- 폐에서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데에 기여

 

nerve

- T9~12 갈비뼈 신경

 

'공부내용 >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학] 하체 6가지 구분  (0) 2020.09.24
[생리학]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 일차능동운반  (0) 2020.09.21
[해부학] 척추 - 2  (0) 2020.09.19
[해부학] 척추  (0) 2020.09.19
[해부학] 머리뼈 큰 분류  (0) 2020.09.18